본문 바로가기
인사이트

Ai 시대의 우리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 (ft. Deepseek)

by AMANDA KIM 2025. 2. 12.
반응형
AI는 유능한 조력자이지만, 인간의 판단력이 없으면 빛을 발하지 못합니다.
기술 숙달과 동시에 윤리적 사용 원칙을 정립해야 합니다.

ai의 윤리적 기능

최근 중국의 딥시크(Deepseek)가 공개한 저비용 고성능 AI모델엔비디아 주가 동요부터 글로벌 AI시장에까지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월10만원 미만으로 GPT-4 수준의 AI를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과연 우리는 이 혁신적인 도구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을까요.

딥시크 어플리케이션

AI활용 현황의 역설

- 77%의 인구가 AI기기를 사용하지만, 33%만 자신이 AI를 활용한다고 인식

- 한국은 AI 활용율 55%로 주요국 중 1위(한국정보화진흥원, 2024)

- 글로벌 생성형 AI시장 규모: 2023년 400억 달러 - 2030년 1.3조 달러 전망(Gartner)

 

AI 시대 생존 전략 3가지

1. 지속적인 학습 시스템 구축 - 아직은 어색한 AI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최근에 SK에서 제공하는 에이닷(월5,500원)을 활용해 보거나 ChatGPT무료버전 혹은 Perplexity(SK휴대폰 요금 사용자 1년 사용 가능) 등을 사용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혹은 구글 AI Bootcamp나 카이스트 AI온라인 강의는 학습 플랫폼으로 유용합니다.

2. 창의성 개발 - AI에게 원하는 대답이나 결과를 불러내려면 프롬프트(질문)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질문에 따라 결과 값이 상이해서 원하는 답변을 위해서는 AI에게 자주 묻고 결과 확인하는 습관을 들일수록 좋습니다.

효과적인 프롬프트(질문) 작성법:

[나쁜 예] "마케팅 자료 만들어 줘"

[좋은 예] "30대 여성 타겟, 자연주의 화장품 신제품 출시, SNS 홍보용 캐치프레이즈 5개 제시, 이모지 3개, 문장 길이 15자 내외"

* 프롬프트 최적화 도구: PromptPerfect, FlowGPT 

(사진: promptperfect)

3.  새로운 기회 - AI의 최대의 장점은 실용성과 소득 창출입니다. 질문 해소 이외에도 많은 강점이 있습니다. 문서작성, 데이터 분석, PPT 제작 등에 기본적으로 유용하지만, 글쓰기 혹은 컨텐츠 제작AI로 시작해 소득을 창출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한국의 경우 AI활용률이 벌써 55%로 주요국 중 가장 높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유튜브나 틱톡 영상제작을 해서 소득을 늘리는 방식 등이 있겠죠.

AI와 우리의 미래

AI는 새로운 흐름입니다. 3개월 주기로 진화하는 기술 속에서 생존하려면 지속적으로 새로운 AI기술을 탐색하고, 삶에 적용하는 방법을 계속적으로 연구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