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애인들의 안타까운 소식도 그렇고 주변 분들도 우울감을 호소하시는 분들도 꽤 많습니다. 바쁜 일상이 습관인 현대인들이 과연 아무것도 안하고 살 수는 있을까요. 이 시점에서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에 대한 부분을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DMN 이란?
뇌가 쉴 때도 활성화되는 영역이 있는데 이를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즉 기본상태회로라고 하는데 즉, 뇌가 아무것도 하지 않음에도 활성화되는 뇌 회로 시스템을 말한다.
[꿈의 흔적] 2. 루시드 드림 (DMN의 역할)
우리가 꿈 속에 있는 동안에는 현실처럼 느껴진다.뭔가가 이상하다고 느끼는 것은 우리가 깨어났을 때 뿐이다.- 영화 [인셉션] [꿈의 흔적] 1. 현실 경험의 반영 (복잡하지만 너무도 흥미로운
amda27.com
DMN과 자아
DMN은 우리가 휴식할 때 활성화되는 뇌 네트워크로, 자기 인식, 상상력, 기억 회상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 DMN의 활성화는 쉽게 말해서 '의식적으로 집중하지 않는, 어떤 생각도 하지 않는 상태' 입니다. 이 상태에서 무의식 상태에서 일반인들의 뇌는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면서 자아를 형성하고 있다는 겁니다. 평소에는 나 이외의 어떤 것에 집중할지는 몰라도 DMN 활성화상태만큼은 뇌가 자기 자신에게 집중합니다.
새로운 통찰 - 우울증과 DMN
DMN에 기반한 우울감과 우울증 증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휴식상태(DMN상태)모드에서 머릿속을 떠돌아다니는 공상과 잡념의 상태가 부정적이고, 평소 일상에서 접하는 외부의 거의 모든 정보들 또한 부정적인 메커니즘으로 형성되어 쉽게 휴식을 취하지 못한다는 겁니다. 다시 말해, 뇌가 휴식을 취하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며 정신적 피로도가 점점 상승하게 됩니다. 이런 악순환이 가속되어 우울감을 가진 분들은 쉬는 순간조차도 우울한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명상과 심리치료
이처럼 DMN의 이상반응을 안고 사는 우울증 환자들에게는 과도한 자기비판과 자기비하를 막는 것이 우울증 개선에 첫번째 입니다. 명상은 DMN의 과도한 활성화를 줄여주고 정서적 안정을 증진시키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깨어있는 동안의 의식적인 자아관찰이 정서처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추가로 심리치료를 병행하면 우울증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항우울제와 DMN
항우울제는 DMN의 활성화와 연결성을 조절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우울증 치료제를 먹으면 잠을 잘 자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항우울제는 DMN의 과도한 연결성을 정상화시켜 우울증 환자들의 부정적 정신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정신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엉덩이 통증 예방 및 치료 (feat. 스트레칭 방법) (0) | 2025.03.22 |
---|---|
2. 엉덩이 통증, 그 고통의 실체 (feat.좌식생활습관) (0) | 2025.03.22 |
1. 부상이 많은 이유 (feat. 엉덩이 근육) (0) | 2025.03.09 |
[꿈의 흔적] 2. 루시드 드림 (DMN의 역할) (7) | 2025.03.03 |
[꿈의 흔적] 1. 현실 경험의 반영 (복잡하지만 너무도 흥미로운 것.) (2) | 2025.02.17 |